앞으로 고연령층·기저질환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은 하루 안에 검사와 치료제 처방을 받는 고위험군 ‘패스트트랙’이 가동된다.
또한 검사와 진료 등으로 나뉜 코로나19 대면 진료 병·의원은 통합 정비되고, 코로나19 치료 병상으로 운영되던 응급실 병상과 의료진은 응급실 기능으로 단계적 복원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1일 정례브리핑에서 새 정부의 코로나19 100일 로드맵 과제 중 일반의료체계 전환방향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손 반장은 “일반의료체계의 전환은 안착기 이후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나, 의료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호흡기전담클리닉, 호흡기진료지정의료기관, 외래진료센터 등 검사와 진료는 각 기능별로 여러 범주가 나뉘어 복잡하고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감염 관리 여건을 갖추고 코로나 확진자의 검사와 대면진료가 가능한 동네 병·의원 체계로 단순화해 통합 정비한다. 코로나19 대면진료 의료기관의 성격을 나타내는 새로운 명칭도 검토 중이다.
동네 병·의원의 지정 규모는 확진자 발생 규모와 접근성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이용 불편이 없는 수준으로 유지하며 계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고위험군 패스트트랙을 도입, 고연령층·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하루 안에 검사와 치료제 처방을 받도록 한다. 입원 필요환자로 이환 할 경우 거점전담병원에 신속히 연계해 우선 입원할 수 있도록 한다.
중단된 응급실 기능을 단계적으로 복원하면서 응급의료체계를 전면 회복할 계획이다.
그동안 응급실의 병상과 의료진은 코로나19 치료병상 운영 지원 등의 목적으로 탄력 운영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을 안착기 전환과 함께 응급의료 전담 자원으로 복귀한다.
코로나 의심 응급환자는 응급실 환자분류소 또는 코호트 격리구역에서 검사 후 결과에 따라 필요 시 격리병상 등으로 입원하게 된다. 또 투석병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격리된 공간에서 진료가 이뤄지도록 한다.
확진자 대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 중 예비기관을 선별·지정해 별도 관리하고, 재유행 시 변이 특성을 고려해 절차에 따라 즉각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코로나 대응 병상 총량은 당초 계획대로 조정하되 재유행을 대비해 병상 자원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이를 위해 국가입원치료병상, 긴급치료병상 등을 활용해 상시 대응 병상을 확보한다.
응급실은 종합상황판을 점검·개선하고 이송역량 확충 및 ‘감염병 상황 시 응급실 운영 가이드라인’ 보완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고위험 병상에 전문·의료인력을 확충하기 위해 환자 전담 간호사를 추가 양성하고, 소아·분만·투석 병상에 필요한 간호사는 경력간호사가 우선 근무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종합병원 근무 의료인력을 대상으로 감염병 전문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손 반장은 “정부는 앞으로 이와 같은 로드맵 과제들을 구체화하고 충실히 이행해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의 새로운 일상회복이 계속 순조롭게 이어지도록, 그리고 혹시 모를 새로운 유행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기울여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오렌지나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민규 기자 다른기사보기